728x90
반응형
SMALL
🚀 강의 목표
- Docker의 기본 개념과 컨테이너 기술의 필요성을 이해합니다.
- Docker 설치를 통해 첫 번째 컨테이너 실행까지 경험합니다.
- 실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 방법을 학습합니다.
🧐 Docker란 무엇인가?
1. 컨테이너 기술의 필요성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은 종종 운영 체제, 라이브러리 버전, 설정 파일 등에서 발생하는 환경 의존성 문제로 인해 골머리를 앓습니다. 🛠️
Docker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테이너 기술을 제공합니다.
컨테이너란? 애플리케이션과 필요한 모든 요소(OS, 라이브러리, 설정 등)를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어디서나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2. Docker의 특징
- 경량화: 가상 머신(VM)보다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빠릅니다. ⚡
- 이식성: 한 번 컨테이너를 만들면 어떤 환경에서도 실행 가능합니다. 🌍
- 확장성: 컨테이너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현에 최적화되었습니다. 🔗
3. Docker 구성 요소
- 이미지(Image):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을 포함한 템플릿입니다.
- 컨테이너(Container):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로, 실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 Docker Hub: Docker 이미지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레지스트리입니다.
🖥️ Docker 설치하기
1. 설치 준비
Docker는 macOS, Windows, Linux에서 모두 지원됩니다. 아래는 각 OS에 맞는 설치 방법입니다.
2. Windows 설치
- Docker Desktop 다운로드
👉 Docker Desktop 공식 페이지에서 Windows 버전을 다운로드하세요. - 설치 과정
- 설치 도중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WSL2를 먼저 활성화하세요.
wsl --install
- Docker 설치 후, Windows Terminal에서 다음 명령으로 Docker를 확인하세요:
docker --version
- 설치 도중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WSL2를 먼저 활성화하세요.
3. macOS 설치
- Docker Desktop 다운로드
👉 Docker Desktop 공식 페이지에서 macOS 버전을 다운로드하세요. - 설치 후 확인
-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으로 Docker 버전을 확인하세요:
docker --version
-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으로 Docker 버전을 확인하세요:
4. Linux 설치 (Ubuntu 기준)
- Docker 설치 스크립트 실행
Docker 공식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설치합니다.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bash
- Docker 버전 확인
- docker --version
- Docker 명령어를 루트 권한 없이 사용하도록 설정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여 적용합니다.
🐋 첫 번째 컨테이너 실행
Docker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이제 컨테이너를 실행해 봅시다!
1. hello-world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hello-world
- 이 명령은 Docker Hub에서 hello-world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뒤, 해당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결과: "Hello from Docker!" 메시지가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
2. 컨테이너 명령어 맛보기
-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 정지된 컨테이너도 포함한 전체 목록 확인
docker ps -a
- 컨테이너 중지
docker stop <컨테이너_ID>
❗ 실습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해결 방법
1. WSL2 설치 오류 (Windows)
- 문제: Docker Desktop 설치 도중 "WSL2가 활성화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 발생.
- 해결: PowerShell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 WSL2를 활성화하세요.
wsl --install
2. Docker 명령어 실행 시 권한 오류 (Linux)
- 문제: docker: permission denied 오류 발생.
- 해결: 현재 사용자에게 Docker 그룹 권한이 없을 때 발생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sudo usermod -aG docker $USER
3. Docker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음
- 문제: docker run 명령어 실행 시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오류 발생.
- 해결: Docker 데몬이 실행 중인지 확인하세요.
- Linux:
sudo systemctl start docker
- Windows/macOS: Docker Desktop을 실행하세요.
- Linux:
📝 정리 및 다음 강의 예고
1. 정리
-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이고 이식성 있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오늘은 Docker 설치와 기본 컨테이너 실행 과정을 배웠습니다.
- 실습 중 문제가 발생하면, Docker 공식 문서나 커뮤니티를 적극 활용하세요.
2. 다음 강의 예고
다음 강의에서는 Docker 이미지와 컨테이너 기본 사용법을 다룹니다.
- Docker Hub에서 이미지 검색 및 다운로드
- docker build를 통한 커스텀 이미지 생성
- 이미지와 컨테이너 관리 명령어 심화
Docker와 함께 더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
더 알아보기: Docker 공식 문서
728x90
반응형
LIST
'소프트웨어 개발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ocker 강의 5강: Docker 볼륨과 데이터 관리 (0) | 2025.01.27 |
---|---|
🐳 Docker 강의 6강: Docker Compose를 활용한 멀티 컨테이너 환경 구성 (0) | 2025.01.27 |
🐳 Docker 강의 4강: Docker 네트워킹 (0) | 2025.01.27 |
🐳 Docker 강의 2강: Docker 이미지와 컨테이너 기본 사용법 (0) | 2025.01.27 |
🐳 Docker 강의 3강: Dockerfile을 이용한 커스텀 이미지 생성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