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클라우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DBaaS) 비교 (2)

브라더댄 2021. 11. 8. 23:08
728x90
반응형
SMALL

DBaaS Market Landscape

DBaaS 시장 규모는 이미 상당하다. 많은 플레이어가 활동 중이고, 여기에는 퍼블릭클라우드제공자가 주도하는 서비스와 DBMS공급자가 주도하는 서비스, 그리고 두가지 모두에 해당되는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MarketsandMarkets Analysis - Cloud Database and DBaaS Market]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약 14조원(USD 12B) 규모로 추산되며, 2025년까지 2배에 달하는 29조원(USD 24.8B) 규모의 시장으로 예상했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기업이 기업들이 디지털전환의 첫단추로 클라우드이전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대한항공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또한 기존의 Oracle에서 AWS Aurora 로 전환하는등의 혁신을 꾀하는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컨테이너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앱 환경을 전환하거나, 머신러닝 및 VR등의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직원과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업에서 십년이상 운영되던 오라클 DB를 전면적으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로 이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한 만큼 막대한 공수가 투입되어야 하는것은 물론, 위험부담이 크고, 특히 대부분의 기술을 가진 오라클과 그 생태계에서 이러한 프로젝트에 협조적일리 없기 때문일 것이다. 

큰 생태계를 조종하는 대형 SW 벤더사에 Lock-in 되면 고객은 유연한 선택을 하기 어렵다. 기업들은 이러한 Lock-in을 지양하려고 하지만, 잠재적 위험에 대한 부담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유로 인해, 다른 선택을 하기가 쉽지않다. 

이것은, 클라우드 전환시에도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구글에서 검색해보았다. "database migration from aws to on-premise" 라고..

검색결과는 온통 어떻게 데이터베이스를 AWS 에 마이그레이션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문서 뿐이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해봐야한다. 과연 AWS로 이관되어 운영중인 Database를 향후 온프레이스나 엣지로 빼내와야 할 요구는 없을지.. 클라우드비용은 계속적으로 충당가능할 수준일지..

Private과 Public 간에 자유로운 모빌리티가 제공되는 하이브리드클라우드형 DBaaS는 어떻게 구축해야하는지도 고민해야할 아젠다이다. 다음 포스팅에서 하이브리드클라우드 기반의 DBaaS를 구현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728x90
반응형
LIST